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무장 항일 투쟁

3-1운동 이후 항일 투쟁은 만주와 연해주 중심

평북 동암산을 근거로 한 보합단, 평북 천마산을 근거지로 한 천마산대, 황해도 구월산의 구월산대


6.10만세운동(1926), 광주학생항일운동, 일제의 수탈과 식민지 정책에 반대


광주학생항일운동(1929) 6-10운동이후 각 학교에서 많은 학생들은 자체 조직활동


신간회에서 광주학생항일운동에 김병로를 대표로 진상 조사단을 파견

학생운동 이후 3.1운동 이후 최대의 민족운동으로 발전


간도 지역에서 무장독립운동을 수행함


남만주의 삼원보; 이회영, 이상룡

밀산부 한흥동, 이상성설, 이승희

블라디보스토크의 신한촌은 독립운동기지


삼원보 ; 신흥학교, 경학사, 부민단, 한족회, 서로군정서, 대한독립단

용정; 서전서숙, 명동학교, 대한국민회군, 간민회, 대한 국민회

왕청; 중광단, 대한정의단, 북로군정서, 대한독립군

블라디보스토크, 겅명회, 권업회, 대한광복군정부, 전러한족회중앙총회, 대한국민의회, 한인사회당


대한광복군정부1914; 이상설, 이동휘를 정, 부통령으로 함, 블라디에 설립, 임시정부 수립의 길 열음


의열단, 1919 김원봉이 조직한 무력 독립운동단체

조선혁명선언1923 신채호; 의열단 선언문, 독립을 위한 혁명은 정당, 자치론, 참정권론, 내정 독립론, 문화운동등을 비판, 이승만외교와 안창호의 실력양성론등을 부정

의거활동;

부산경찰서 폭파 1920 박재혁

조선 총독부 투폭 1921 김익상

상하이 일본군 다나카 육군대장 저격, 김익상, 오성륜

1923 종로경찰서 투폭

일본 동경 궁성 이중교 투폭 1924 김지섭

동양척식 주식회사, 조선 식산은행 투폭, 1926 나석주


의열단은 개별적 의열 활동의 한계를 인식하고 간부양석(조선 혁명 간부 학교 설립) 정당조직(민족 혁명당)으로 방향 전환


한인애국단 1931 상하이에서 김구 조직

이봉창의거 1932, 일본 국왕 폭살 시도 사건 - 상하이 사변

윤봉길의거 1932.4 상하이 홍커우 공원에서 전승축하식


봉오동전투 1920; 홍범도가 이끈 대한 독립군, 최진동의 군무 도독부, 안무의 국민회가 봉오동에서 일본군 상대로 승리

청산리 대첩 1920; 김좌진-북로군정서군을 주로 독립군 연합부대

간도참변1920; 만주의 한국인 참살

자유시 참변 1921; 서일 총재의 대한독립군단


독립군 재편성; 3부구성

참의부1923 ; 압록강건너, 임시정부 직할하

정의부1925;길림과 봉천을 중심

신민부1925; 북만주 일대


미쓰야 협정, 일제와 만주군벌이 체포한 독립군 인도


혁신의회, 재만책진회, 1928; 김좌진, 지청천드으을 중심으로 혁신의회로 통합, 산하에 한국독립당, 한국독립군

국민무 1929; 신민부 내의 민정부를 중심으로 조선혁명당, 조선혁명군이 편성


지청천의 한국 독립군은 중국의 호로군과 한중 연합형성

-쌍성보전투1933, 사도하자전투1932, 동경성전투1932, 대전자령전투1933


조선혁명군, 향세봉, 중국 의용군과 연합, 흥경성전투, 영릉가전투에서 대승


1940 충칭에서 한국광복군의 창설

태평양전쟁을 계기로 일본에 선전포고1941

조선 의용군조직, 중국의 화북지방에서 중국 공산당과 연계하여 화북 조선 독립 동맹을 결성

동북인민혁명군1933; 중국공산당소속,

1936조국광복회, 동북항일 연군의 한국인 간부들이 반일 민족 연합 통일 전선을 실현하고 독립적인 인민정부 수립을 위해 조직

보천보전투 1937, 6; 동북항일 연군대원들이 압록강을 건너 보천보 공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