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170606

풍수지리설 ; 신라말기에 중국에서 풍수지리설을 들고옴

고구려 ; 별자리를 그린 천문도, 고분ㄴ벽화에 그림이 있음

신라 ; 7세기 선덕여왕때 첨성대가 세워짐, 일월식, 혜성 출현 등 기상이변에 대한 관측등이 있음


수학적 조형물, 고구려 고분의 석실, 천장의 구조, 백제의 정립사지 5층 석탑, 신라의 황룡사 9층 목탑등에 수학적 지식이 사용

석굴암의 석굴구조나 불국사 3층 석탑과 다보탑등에 정밀한 수학적 지식이 이용


목판인쇄물; 불국사 3층 무구 정광 대다라니경은 8세기 만들어진 두루마리불경,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 인쇄물


고분벽화, 초기에는 주로 무덤 주인의 생활을 표현한 그림이 많았음, 시간이 지나 추상화되어 상징적인 그림으로 변화


황해도 안악 3호분, 375; 고구려 지배층의 대행렬 부엌, 우물가 등의 벽화

덕흥리고분, 408 에서 견우 직녀도, 13태수 하례도

장천 1호분, 만주 집안, 예불도가 처음 등장, 천장에 비천상과 연무늬


백제의 고분- 한성시기 한강유역에 있던 초기 한성에 계단식 돌무지무덤을 만들음, 혁촌동에 일부가 남아 있음, 웅진_굴식 돌방무덤 또는 널방을 벽돌로 쌓은 벽돌무덤으로 바뀌음, 사비시기_고분은 규모가 작지만 세련된 굴식 돌방무덤 제작


고분벽화 ; 송산리 6호분, 벽돌무덤 양식, 사신도와 산수도 벽화 발견

무령왕릉, 중국남조의 영향을 받은 벽돌무덤, 사비시대 벽화 ; 굴식 돌방무덤, 축조기술이 세련됨, 사신도, 연꽆무늬, 구름무늬 등의 벽화가 발견됨


신라의 고분, 거대한 돌무지덧널무덤을 많이 제작, 통일 직전에 굴식 돌방무덤을 만듬, 통일 신라시대에는 불교의 영향으로 화장이 유행함, 고분양식도 거대한 돌무지 덧널무덤에서 작은 굴식 돌방무덤으로 변함


건축과 탑

고대의 건축 ; 궁전, 사옥, 가옥에 그 특색이 잘 나타나 있음. 궁궐건축 - 장수왕이 평양에 세운 안락궁, 한변의 길이가 620m 남진정책의 기상을 파악할수 있음

사원, 신라의 황룡사와 백제의 미륵사가 웅장하고, 규모가 큼

황룡사, 6세기 진흥왕 건축, 팽창의지

미륵사, 중앙에 거대한 목탑과 동서에 석탑을 둔 특이한 형태의, 7세기 무왕이 추진한 백제의 중흥


고구려, 주로 목탑을 건립, 남은 것은 없음


백제; 미륵사지 석탑으느 서탑의 일부가 남아있음, 이를 계승한 부여 정림사지 5층 석탑은 백제의 대표적인 석탑중의 하나.


신라; 황룡사 9층 목탑, 분황ㅇ사 모전 석탑이 유명


성곽, 삼국시대에 방어를 위하여 성곽을 많이 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