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선대원군,1863-1873 ; 세도정치, 해외 열강 침략
붕당정치와 세도정치의 폐단, 왕권강화, 비변사폐지, 의정부 강화, 삼군부 회복, 대전회통, 육전조례
서원정리 47개소, 서원의 노비와 전지 몰수
전정개혁, 양전사업을 실시하여 누락토지 발견, 지방관과 토호의 토지겸병금지
양전의 실시
군정의 개혁, 양반에게 군포를 징수하는 호포법실시,
환곡제를 사창제로 개혁, 향촌에서 스스로 사수를 뽑아 사창을 관리
경복궁중건, 원납전 발핵, 당백전남발
#병인박해, 1866 ; 프랑스 선교사 포섭실패 후 천주교에 대한 대대적인 탄압
#병인양요, 1866 ; 로즈제독의 침략, 한성근, 양헌수 부대의 항전, 문수산성과 정족상성에서 프랑스군 격퇴
#오페르트 도굴 1868 ; 독일상인 오페르트가 남연군의 묘를 도굴하는 사건이 발생
#신미양요 1871 ; 병인양요 직전 제너럴셔먼호가 통상요구중 침몰, 미국의 로저스 제독이 강화도 공격, 광성보와 갑곶 등지에서 이를 격퇴
#청화비 건립, 1871 ; 서양과의 수교 거부
#통상개화론자, 박규수, 오경석, 유흥기, 이동인, 이규정등 토아상 개화론자들이 문호개방이 필수라고 주장
#강화도조약,1876 ; 운요호사건,1875 이후 일본에 의해 문호개방을 강요하여 강화도 조약을 체결
최초의 근대적 및 불평등 조약
조선에 대한 청의 종주권 부인하여 침략을 용이하게 만듬
부산, 원산, 인천 등 세 항구의 개항이 이루어짐
일본인의 통상활동 허가와 조선 연해의 자유로운 측량 규정치외 법권, 해안 측량권
#조일수호조규부록 및 통상장정
조선내에서 일본 외교관의 여행자유, 일본 상인의 활동 범위 사방 10리, 개항장에서 일본 화폐사용
#조일통상장정, 1876; 무관세, 무항세, 개항장에서 잡곡의 무제한 수출이 가능함
#조미수호통상조약 1882 ; 황쭌센의 조선책략이 유포되어 미국과 외교관계를 가져야 한다는 주장이 나타남, 청의 알선으로 체결, 거중조정, 최혜국대우, 치외법권, 관게자주권
# 영국_1883, 독일_1883, 러시아_1884, 프랑스_1886
#개화사상, 북학파의 사상을 발전하여 청에서 진행된 양무운동과 일본의 문명개화론의 영향을 받음
#1차 수신사 파견, 1876 ; 김기수
#2차 수신사 파견, 1880; 김홍집
#개화파인사의 등용 ; 개화정책의 추진, 통리기무아문 및 12사를 두어 외교, 군사, 산업등의 업무를 담당하게 함
# 5군영을 무위영, 장어영 2군영으로 통합개편, 신식군대의 양성을 위하여 별기군을 창설, 일본인 교관을 채용하여 근대적 군사훈련을 시키고 사관생도를 양성
#조사시탈단 파견, 1881 ; 박정양, 어윤중, 홍영식 등과 수행원들은 일본으로 가서 각종 산업시설의 시찰
# 영선사 파견, 1881 ; 김윤식을 단장으로 청의 텐진 공장에 파견하여 무기공장과 근대적 군사훈련법을 배우도록 단행, 이를 계기로 기기창을 설치
#보빙사, 1883 ; 조미수호통상조약 이후 민영익을 대사로 홍영식과 유길준 등을 미국에 파견함, 보빙사를 통해 신식 우편제도와 농업기술을 받아들임
#위정청사운동, 정학과 정도를 지키고, 사학과 이단을 물리침, 성리학과 성리학적 질서수호, 이항로, 기정진 유인석, 최익현 등에 의해 계승
1860년대, 척화 주전론, 통상수교거부정책을 강력히 뒷받침
1870년대, 왜양일체론, 개항불가론 등을 통해 개항반대
1880년대, 조선책략의 유포에 반대, 영남 만인소를 통해 개화반대운동 전개
1890년대, 항일 의병운동으로 계승
조선왕조와 지주중심의 봉건적 경제, 양반중심의 차별적 사회체제, 성리학적 유일사상을 지키기 위함
#왜양일체론을 계승, 최무현
#동도서기론, 온건개화, 청, 양무운동, 변혁을 하는 것은 기이지 도가 아님
#임오군란, 1882 ; 신식군대인 별기군을 우대, 흥선대원군에 도움, 일본 공사관 습격, 청일 대립 초래, 거주민 보호 명분으로 청의 군대가 재 파견이 됨
#위안스카이 등이 지휘하는 군대를 상주시킴, 조청수륙무역장정을 체결
#조선과 일본이 1882 제물포조약, 일본 공사관의 경비병 주둔을 인정
#개화파의 형성, 박규수의 지도를 받은 김옥균, 박영효, 유길준 등이 하나의 정치세력으로 성장
#온건개화파 ; 민씨정권과 결탁하여 청의 양무운동 점진적인 개혁, 김홍집, 김윤식, 어윤중
#급진개화파 ; 청의 내정간섭 반대, 일본의 메이지유신을 본받은 급진 개역, 김옥균, 박영효, 홍영식, 서광범
#개화당은 임오군한 후 받영효가 수신사로 일본에 파견, 고동의 신임 ; 박문국 최초의 신문인 한성순보 간행, 유삭생파견, 우정국 설치하여 근대적인 우편사업 실시, 개화운동을 위한 차관도입에 실패
#갑신정변 1884 ; 수구세력들이 개화당 탄압, 1884 청프전쟁이후 조선 주둔 청군이 철수, 일본의 도움을 받아 정변구체화, 우정국 개국 축하연을 이용하여 사대당 요인 살해, 14개조의 정강을 마현하여 근대국가의 건설 단행
# 청에 대한 사대외교 폐지, 입헌군주제, 지조법을 개정하여, 혜상공국과 환상미의 폐지, 문벙을 폐지하여 인민 평등을 도모